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휴대폰 소비자인데 판매점과 대리점을 구별해서 방문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?
스마트폰 대리점은 대부분 A급 상권에 자리 잡고 있다. 임대료도 비쌀 텐데 손님도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돈을 벌까?
휴대폰 판매점 창업비용과 주 수입원
휴대폰 판매점 창업비용은 약 3천~3억 정도가 투자됩니다. 이들은 통신회사와 계약하지 않고 통신사 3사 대리점 SKT, LG U플러스, KT 등과 거래를 합니다. 이들의 특징은 돈을 버는 구조부터 통신사 대리점과 완전히 다릅니다. 간판에 3사의 로고가 부착되어 있습니다. 주 수입원은 매일 단말기를 판매하고 개통 고객을 유치하는 것입니다. 그리고 3사 대리점들로부터 개통수수료와 단말기 마진을 받는 것이 주수입원입니다.
휴대폰 대리점 창업비용과 주 수입원
휴대폰 대리점 창업 비용은 상권이나 규모에 따라 대략 6억~10억 이상입니다. 이들은 통신사와 직접 계약을 체결합니다. 대리점의 수익 구조는 본사에서 공급받는 단말기 판매 수익, 그리고 개통회선당 고객들이 매월 납부하는 요금의 약 5%~7%까지를 5년 동안 관리 수수료란 명목으로 받게 됩니다. 보통 대리점마다 약 1만 회선을 기준으로 하면 월 3500만 원을 신규 스마트폰 개통과 상관없이 통신사로부터 지급받게 됩니다. 고객은 아무 곳이나 개통을 할 수 있지만 이들은 전혀 다른 수익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. 대리점 소득을 우리는 권리소득이라 부릅니다.
내 휴대폰 요금 절약하기
지금 내 요금패턴을 확인하고 부가서비스부터 해지하세요. 대부분의 고객들은 본인들의 소비패턴이나 요금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소비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. 휴대폰 대리점이나 판매점에서 권유하는 요금제를 그대로 사욯하면 100% 바가지요금입니다. 이유는 통신사는 항상 요금제를 만들 때 통신사의 이익을 생각하고 만들기 때문에 항상 비쌉니다. 그리고 폭탄요금이나 계약을 요금할인을 조건으로 6개월 사용을 강요합니다. 이유는 6개월 이내 고객이 해지하면 대리점이나 본사에서 환수가 들어오기 때문입니다.
'선불폰요금제와 요금충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선불폰요금제와 요금충전 (0) | 2025.03.21 |
---|